-
해양 에너지 전문가직업 2023. 5. 23. 08:35
지난 글에 신재생에너지와 직업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번에는 바다입니다!
해양에너지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파력에너지 (Wave Energy) : 파도의 운동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인데요. 파력발전소는 파도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터빈이나 부양체를 작동시켜 전기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
조력에너지 (Tidal Energy) 해수의 조수 운동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이며, 조력발전소는 해수의 조수 운동을 이용하여 터빈을 회전시켜 전기를 생산합니다.
해류에너지 (Ocean Current Energy) : 해류에너지는 바다의 해류 운동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이며, 해류발전소는 해류를 통과하는 물의 흐름을 이용하여 터빈을 회전시켜 전기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열기 펌프 발전 (Ocean Thermal Energy Conversion, OTEC) : OTEC는 바다의 온도 차이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입니다. 차가운 심해수와 따뜻한 표면수 사이의 온도 차이를 이용하여 열기 펌프를 작동시켜 전기를 생산합니다.
해양풍력 (Offshore Wind Energy) : 해상에 설치된 풍력터빈을 이용하여 바람의 운동 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하는 방식입니다. 해양풍력은 육지에 비해 바람이 강하고 안정적이기 때문에 더 많은 전기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
이것 외에도 해수 염도 차이, 해양열, 해수화학반응 등을 활용한 다양한 해양에너지 기술과 방식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해양에너지는 지속 가능한 에너지 생산과 기후변화 대응에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해양 에너지 전문가는 무엇일까요
해양에너지 전문가는 해양에너지 분야에서 전문 지식과 경험을 갖춘 전문가를 말하는데요.
바다에서 얻는 에너지로, 파력, 해류, 해수온차 등을 활용하여 전기나 열 등의 에너지로 바꾸는 기술을 연구하고 관련된 기계와 설비를 합니다.
바다를 조사하고 자원을 개발하기 위해 만드는 해양 구조물 시설물을 설치하고 관리하는 일도 하며, 해양 에너지 자원을 조사하고 해양 에너지를 이용할 경우에 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합니다.해양에너지 전문가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대학 및 관련과정 : 대학에서 해양공학과, 해양학과, 전자공학, 기계공학, 에너지공학, 자원공학, 환경학, 전기공학, 등을 전공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한국기술사회나 해양 관련협회등에서 해양을 개발하고 이용하는 데 있어 필요한 기술 과정을 배울 수 있습니다.
자격증 취득 : 해양자원개발기사, 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능사기사, 에너지관리기능사기사, 자원관리기술사, 시추기능사 등 자격증을 취득하면 도움이 됩니다.
관련 경험과 기술 개발 : 학문적 배경 외에도, 관련 분야에서의 경험과 기술 개발이 중요한데요. 학교의 연구실이나 산업체의 연구 및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하거나, 인턴십이나 채용 프로그램을 통해 실제 업무 경험을 쌓는 것이 도움이 되고, 해양에너지 시스템 설계, 모델링, 시뮬레이션, 제어 시스템 등과 같은 기술적인 능력을 개발해야 합니다.
관련 소프트웨어 및 도구 습득 : 해양에너지 분야에서는 다양한 소프트웨어와 도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해양에너지 시스템 설계 및 모델링을 위한 CAD 소프트웨어, 수치 모델링을 위한 시뮬레이션 도구, 데이터 분석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래밍 언어 등을 숙달하는 것이 좋고, 이를 통해 해양에너지 전문가로서 업무를 보다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해양에너지 전문가의 미래전망
현재까지는 해양 에너지 전문회사가 많지 않지만, 발전 가능성이 많은 분야입니다.
대체로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에서 에너지를 더 많이 확보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며, 다른나라처럼 석유나 가스와 같은 화석연료는 없지만 3면이 바다로 둘러 쌓여 있기에해양에서 전기를 얻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며, 자원을 얻는 주역이 될 것입니다.
엔지니어, 과학자, 정책 분석가 등 다양한 전문 분야에서 나올 수 있고 보통 공공 기관, 연구기관, 에너지 회사, 컨설팅 회사 등에서 일할 수 있습니다.'직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이버 보안 전문가 (0) 2023.09.06 블록체인 개발자(Blockchain developer) (0) 2023.09.06 스마트 팜 구축가 (Smart Farm Builders) (0) 2023.05.18 곤충 음식 개발자(곤충 음식 조리사) (2) 2023.05.17 스마트 재난 관리 전문가 (0) 2023.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