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스마트 팜 구축가 (Smart Farm Builders)
    직업 2023. 5. 18. 08:36

    스마트 팜에 대해 아시나요

    스마트 팜은 농업에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하여 농작물을 언제, 어디서든지

    원격 및 자동으로 관리하는 지능화된 농장을 말하는데요.

    스마트 팜 구축가는 농작물, 가축 등을 잘 키울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일반인들에게 보급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작물과 가축을 키우는 일에 대해 자세히 알아야 하고, 농사짓는 일을 할 수 있어야 하며, 또 작물이나, 가축 등이 생존하는 필요한 생태 특성, 습도, 온도, 이산화탄소의 수준들을 잘 이해하며, 수학 통계, 생물학에 대하여 기초적인 지식이 있어야 하는데요.

    오늘은 이 직업에 대해 좀 더 알아보겠습니다.



    스마트 팜 구축가는 무엇일까요

    스마트 팜 구축가는 농업 분야에서 디지털 기술과 자동화 시스템을 활용하여 스마트 팜을 구축하고 운영하는 전문가를 말하는데요. 스마트 팜은 센서, 로봇, 인공지능 등의 첨단 기술을 이용하여 작물 생산과 관리를 최적화하고, 농작업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향상하는 농업의 혁신이죠

    그리고 스마트 팜 시스템을 설계, 구성 및 운영하기 위해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농작물의 생장을 모니터링하고, 토양 상태와 날씨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을 한 후 작물의 성장 조건을 최적화하기 위한 행동을 결정하고 자동화된 시스템을 제어하며, 그중에 자동 급수 시스템, 스마트 센서 네트워크, 로봇 농장 관리 시스템 등을 구축하고 운영합니다.
    또 스마트 팜 구축가는 농업 분야의 전문 지식과 디지털 기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데요. 작물 생산과 관리에 대한 전문적인 통찰력을 갖추고, 센서, 인터넷 연결 기술, 데이터 분석 및 인공지능 기술 등을 활용하여 스마트 팜을 효과적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스마트 팜 구축가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교육과정 : 스마트 팜 관련 기술을 직접 교육하는 과정은 없지만, 정보 통신 기술이나 농업을 전공하는 것이 좋습니다. 스마트 팜 관련 센서 등의 기기를 생산하는 업무는 정보 통신, 기계 관련 대학 전공을 통해, 스마트 팜을 운영하고 이와 관련된 자문을 하는 업무는 고등학교 또는 대학에서 농업 관련 전공을 택하여 배울 수 있습니다.
    그리고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에서는 청년 농업인을 육성하기 위해 스마트 팜 청년창업 보육을 사업을 실시하고 있으므로, 이 과정을 통해 작물 재배 기술, 스마트 기기 운용, 온실관리, 경영 및 마케팅 등 기초부터 경영 실습까지 전 과정을 배울 수 있습니다. (최대 1년 8개월 과정)

    학습과 경험 : 사물 인터넷, 자율주행, 공기나 토양의 측정기(센서), 스마트 팜에서 일하는 로봇, 데이터 분석 및 인공지능 등 새로운 기술을 지속적으로 공부하며 스마트 팜 연구소, 대학, 기업에 취업하여 경력을 쌓고 독립 후 창업을 할 수도 있습니다.

    네트워킹과 학습 : 농업 및 스마트 팜 분야에서 활동하는 전문가들과의 네트워킹을 통해 최신 동향과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데요. 관련 학회, 세미나, 워크숍 등에 참여하여 다른 전문가들과 소통하고 지식을 공유하는 것이 좋으며, 온라인 자료, 도서, 강좌 등을 통해 지속적인 학습과 자기 계발을 계속해나가야 합니다.

    자격증 취득 : 스마트 팜 분야에서 인증과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은 자신의 전문성을 입증하는 데 도움이 되기에 스마트 팜 시스템 설계, 농업 자동화와 같은 인증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스마트 팜 구축가의 연봉은 얼마일까요


    국내에서는 평균연봉은 5,000만 원에서 6,000만 원 정도이며, 미국에서는 스마트 팜 구축가의 연봉이 약 6만 달러에서 12만 달러 사이라고 합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스타트업 등 다양한 근무 회사에서의 연봉도 다르며, 스마트 팜 분야는 농업과 정보기술이 융합된 비교적 새로운 분야이기 때문에 연봉 수준이 불확실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농업의 자동화와 스마트 팜 기술의 발전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스마트 팜 구축가로서의 수입 가능성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스마트팜의 전망

    스마트 팜은 작물생산뿐만 아니라 과수원, 가축을 기르는 건물, 수산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시도되고 있습니다.

    정보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온도와 습도, 작물이나 가축의 상태, 기상상황을 상시적으로 점검하고 필요한 조치를 할 경우 농업, 축산업, 수산업 등에서 보다 큰 수확이 가능합니다.

     

    우리나라 정부에서는 스마트 팜을 위한 기술 개발에 투자를 하고 있으며, 앞으로 스마트 팜 기술이 적용된 가축을 기르는 건물을 확대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처럼 스마트 팜의 시스템을 연구하고 관련 기술을 개발하는 스마트 팜 구축가의 미래는 밝다고 할 수 있습니다.

    '직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이버 보안 전문가  (0) 2023.09.06
    블록체인 개발자(Blockchain developer)  (0) 2023.09.06
    해양 에너지 전문가  (0) 2023.05.23
    곤충 음식 개발자(곤충 음식 조리사)  (2) 2023.05.17
    스마트 재난 관리 전문가  (0) 2023.05.16
Designed by Tistory.